기본 콘텐츠로 건너뛰기

‘난민 반대’ 2차 집회… “무사증 폐지·가짜난민 송환해야”

‘난민 반대’ 2차 집회… “무사증 폐지·가짜난민 송환해야” 제주도에 들어온 예멘인들의 난민 인정을 반대하는 시민들이 주말 저녁 서울 도심에서 집회를 갖고 즉각 송환을 요구했다. ‘난민반대 국민행동’은 14일 저녁 서울 종로구 동화면세점 앞에서 ‘난민법 폐지, 무사증 제도 폐지, 제주 예멘인 추방 촉구 집회’를 열고 “가짜 난민을 송환하고 난민법과 무사증 입국 제도를 폐지하라”라고 촉구했다. 집회 참석자들은 “난민사태는 예멘인 500여명만 추방하면 끝나는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나라에서 수용할 수 없는 풍습을 가진 무슬림들은 이슬람 국가 이외의 나라에서 사회 문제가 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무사증 제도를 즉각 폐지하라”면서 “우리를 혐오자로 모는 언론은 각성해야 한다”는 불만도 표출했다. 이들은 집회 내내 ‘국민이 먼저다’ ‘가짜 난민 송환’ ‘국민의 동의 없는 난민법 폐지’ ‘무사증 폐지’ 등이 적힌 손팻말을 들고 난민에 대한 거부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 특히 난민법을 악용한 입국자로 인한 사회 불안이 야기될 수 있다는 점을 들어 “국민들을 위험에 빠뜨리는 난민법 폐지 법안을 즉각 처리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날 행사는 지난달 30일에 이후 두 번째로 열린 난민 반대 집회다. 지난 집회는 ‘불법난민신청자외국인대책국민연대’ 주도로 열렸으나 내부 사정으로 인해 해산, 두 번째 집회는 난민대책 국민행도 주최로 진행됐다.  앞선 집회 때는 동화면세점 인근에서 난민 반대 집회를 반대하는 맞불 집회가 열렸으나 이번에는 진행되지 않았다. 난민 논란은 최근 제주도로 예멘인 500여명이 입국하면서 불거졌다. 예멘은 지난 2015년 수니파 정부군과 시아파 반군 사이에 내전이 벌어져 28만명에 이르는 난민이 발생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논란이 커지면서 법무부에서도 29일 제주도 예멘 난민에 대한 심사 기간을 2~3개월 수준으로 단축키로 했다. 인력을 추가로 투입해 심사 기간을 단축하겠다는 것이다.  통상 난민심사는 약 8개월 소요되는

파키스탄 2008년 이 후 3000여 명 여성 명예살인

파키스탄 2008년 이 후 3000여 명 여성 명예살인


파키스탄 여성인권 단체인 Aurat 제단은  파키스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2008 년 이후 3,000명 이상의 파키스탄 여성이 "명예살인"를 당했다고 밝혔다.


SUKKUR-
Razia Shaikh looks up to the sky, her eyes glistening with tears and a Quran in her lap, seeking divine justice for one missing daughter and another slain by vengeful relatives in the name of “honour”.

The widow, in her 40′s, wails as she shows two photos of her daughter — bright-eyed and vivacious in one, in the other cold and lifeless, shrouded in her white burial cloth.
Shaikh is one of countless mothers to suffer the misery of “karo-kari”, murders carried out supposedly to preserve family honour or avenge some perceived slight.
The Aurat Foundation, a campaign group that works to improve the lives of women in Pakistan, says more than 3,000 have been killed for “honour” since 2008.
- Marriage and murder -
Sitting on a traditional charpoy bed outside her one-room home in Sachal Shah Miani village, off the bank of the River Indus in Sindh, Shaikh recounts her tale of woe.
It began when her elder daughter Khalida went missing from the home of her in-laws in the southern port city of Karachi in 2010.
What became of Khalida is unclear, but the in-laws blamed Shaikh, a widow struggling to keep her dignity despite extreme poverty.
As Shaikh was grieving for her missing daughter, her in-laws started demanding she marry her younger daughter Shahida to another of their sons.
Shaikh refused and three men broke into her home, shooting her second daughter in the back. They justified the murder by accusing her of adultery and have not been punished.
“For the sake of Allah I appeal to the ministers, the judges and the police to get me justice,” said Shaikh, weeping.
Government efforts to crack down on these attacks have had little success and the killings remain a particular problem in poor and rural areas of Pakistan.
In the absence of material wealth, concepts of honour and preserving the family’s good name are highly valued.
Moreover, Pakistani law allows the relatives of a victim to “forgive” the killer in return for blood money — meaning that if the relatives themselves have arranged the killing, prosecution can be avoided.
Marriages in Pakistan are usually arranged and often take place between cousins, which can add a further motive in the form of rows over dowries.
Irum Awan, a female police officer, heads a special force set up in Sindh in 2008 to fight the menace.
“In most cases, ‘honour’ is just a pretext whereas the real motive is that they don’t want to give the shares in property to their sister or daughter,” Awan said.
- Feudal ties -
It is not only women who suffer and not only matters of love and marriage that lead to such killings.
Criminal justice in Pakistan is deeply mired in local politics, particularly in areas like Sindh where society remains largely feudal, with huge power concentrated in the hands of big hereditary landowners.
And questions of “honour” can be invoked to settle other unrelated disputes.
In a small village west of the town of Sukkur, Mohammad Hasan lives in hiding after being declared “karo” by the local feudal landlord.
“I was declared karo after a dispute that started about land which was mine. They wanted to capture my land,” Hasan told  foreign news agency in a tiny house, located in a scruffy alley by an open sewer.
The landlord sent his men to threaten Hasan, giving him the choice of surrendering his land, his only source of income, or paying 800,000 rupees ($8,000) to settle the dispute — or face the consequences.
“My life is in danger — they have already attacked me three times,” Hasan told the news agency.
“I am a poor man, I am just sitting at home and hiding here and there. He is an influential man, he can do anything with me.”
The abuse of women and poor men under the guise of “honour” has gone on for centuries across South Asia, but the British colonial rulers suppressed the practice.
“In the British rule, they would hold responsible and round up the whole village where the karo-kari would take place, and thus the menace vanished during that time,” said Javed Alam Odho, the police chief of the Sukkur region.
But now weak law enforcement and poor prosecution, often influenced by powerful people, keep the killers at large.
Awan admits her frustration at the way suspects are able to work the system to avoid justice.
“Some days ago we conducted, you won’t believe, more than 10 raids to arrest a person who killed his wife,” she said.
“But when we produced him before the honourable judge, he released him on bail.”
Annually, estimates suggest more than 350 murders are committed in the name of honour in Sindh.
“If you look at the Sindhi newspapers, two to three incidents are reported daily and this is a routine,” said Khalid Banbhan, bureau chief of Ibrat, a prominent Sindhi-language daily.
“Hardly there is a day when no report appears in the newspapers about karo-kari.”
Covering the problem in rural areas is a challenging task for local journalists, who are exposed to the wrath of local feudal chieftains who are usually powerful enough to have troublemakers punished, or even killed, with few repercussions.
Banbhan referred to a case in which a journalist received death threats after reporting a case of a landlord holding a village council that sentenced two women to death after declaring them “kari”.

출처: http://www.pakistantoday.com.pk/2014/11/17/national/over-3000-women-killed-for-honour-in-pakistan-since-2008/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팩트체크 이슬람] 국내 이슬람인구 2023년에 100만명 넘을까

정확한 통계 없어 엉터리 전망 난무 '현재 4만명' 추정치도 대부분 허수 '무늬만 무슬림' 빼면 수백명 불과 한국에 거주하는 무슬림 인구는 대략 15만명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정확한 규모에 대해서는 누구도 확답하기 어렵다. 공식통계가 없기 때문이다. 정부의 인구주택총조사를 살펴보면 종교별 인구 중 이슬람교도는 빠져 있다. 한국 국적의 이슬람교도를 정확히 파악하기 힘들다는 말이다. 또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 국적 이슬람 교인의 수 또 한 불명확하다. 학계에서 추정하는 수치는 법무부 출입국관리소의 통계에 의존한다. 하지만 출입국관리소 통계는 사우디아라비아, 터키, 인도네시아 등 이슬람교권 국적의 국내 체류자를 단순 취합한 수치여서 오류가 클 수밖에 없다. 이들 국적을 지닌 사람 가운데 비(非)이슬람교도도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처럼 국내에 거주하는 무슬림 통계가 정확하지 않다 보니 일부 기독교계에서는 이를 과장하거나 부풀리는 측면이 있다. 또 국내 무슬림 인구의 연도별 추이를 알려주는 통계가 없다 보니 이러한 엉터리 전망을 부추기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 2023년께 국내 체류 이슬람 인구가 100만명에 달할 수 있다는 전망도 이 같은 맥락에서 등장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국내에서 무슬림 인구가 늘어나긴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한국 국적의 무슬림 개종자인 임병용 한국할랄수출협회 사무국장은 “한국이슬람교중앙회에서는 내국인 무슬림을 약 4만명 정도로 추정하는데 이 숫자는 허수”라며 “1970~1980년대 일부 중동국가에서 한국인 건설근로자도 이슬람 교인이어야 입국할 수 있다는 규제를 내걸어 약식 이슬람교육을 받고 무늬만 무슬림으로 등록한 인구가 4만명 정도인데 현재까지 그 숫자를 그대로 쓰고 있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임 사무국장은 귀화자를 제외한 내국인 무슬림이 많아 봐야 수백 명 수준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이처럼 국내에 거주하는 무슬림 통계가 정확하지 않다 보니 일부 기독교계에서는 이를 과장하거나 부풀리

[유럽] “2050년 스웨덴 인구 3명 중 1명은 무슬림”

[유럽] “2050년 스웨덴 인구 3명 중 1명은 무슬림” 무슬림 몰리는 유럽… 난민 포용책 유지 땐 33년 후 세배로 는다 / 美 퓨리서치센터 인구 보고서 / 2010년 3.8%→2016년 4.9% / 현 추세대로면 2050년 14% / 親난민 독일·오스트리아 20% / 스웨덴, 국민 3명 중 1명꼴 돼 / 난민 막아도 1000만명 자연증가 / 인구 비율 최소 7.4%까지 올라 2050년 유럽의 무슬림 인구 비율이 지금의 세 배가량으로 높아질 수 있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미국 여론조사기관 퓨리서치센터는 29일(현지시간) 발간한 ‘유럽의 증가하는 무슬림 인구’ 보고서에서 당장 난민 유입을 금지해도 유럽 내 무슬림 인구 증가세가 꺾이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특히 독일과 오스트리아의 무슬림 비율은 20%에 육박하고, 스웨덴 국민 3명 중 1명이 무슬림으로 채워질 수 있다고 밝혔다. ◆“2050년 스웨덴 인구 3명 중 1명은 무슬림” 퓨리서치센터는 먼저 난민 유입이 많았던 2014∼2016년 상황(높은 이주)과 당장 난민 유입이 금지되는 상황(이주 중단)을 상정하고, 둘의 중간(중간 이주)을 추가한 세 가지 가설을 세웠다. 여기에 각국의 난민 정책과 출산율 등을 반영, 세 가지 상황별 무슬림 인구 비율을 추정했다. 보고서는 2010∼2016년 통상의 유럽 이주자 중 무슬림은 46%였지만, 유럽에 온 난민의 78%가 무슬림이었다고 밝혔다. 난민 유입이 유럽 내 무슬림 증가를 부추긴 셈이다. 2010년 3.8%였던 유럽의 무슬림 비율은 2015년 4.6%를 거쳐 지난해 4.9%로 올라갔다. 지난해 유럽 28개국에 무슬림 2577만명이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이주 상황을 적용하면 2050년 무슬림 수는 7555만명으로 늘고, 유럽 무슬림 비율은 14.0%로 높아질 것으로 예측됐다. 국가별로 스웨덴의 무슬림 인구 비율은 2016년 8.1%에서 2050년 30.6%로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됐다. 2050년 오스트리아와 독일이 각각

[신앙세계] IS문제와 세계 난민 실태, 그리고 기독교

이만석/ 한국이란인교회 담임목사 2014년6월29일 탄생된 IS(이슬람 국가:Islamic State)라는 이슬람 무장단체는 이라크와 시리아 땅 거의 1/3씩을 차지하고 3년간 국가 형태를 갖추고 온 세계를 상대로 싸워 왔으며 이제 거의 패퇴하는 양상이지만 아직 끝은 아니다. 그들이 그동안 보여준 잔인성과 비이성적인 파괴행동은 인류의 증오를 사기에 충분한 것이었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영국의 최상의 복지 혜택을 받으며 살고 있는 런던 무슬림들의 80%가 IS를 지지한다고 한다.(독서신문 2015.2.3.) 또한 벨기에의 쉐어베이크라는 도시의 고등학생들 중 90%가 파리 테러범들과 브뤼셀 테러범들을 영웅으로 생각한다는 기사는 믿고 싶지 않은 사실이다.(뉴욕타임즈 2016.4.7.) 흔히 “IS는 이슬람과 관계가 없는 테러범들일 뿐이다. 이슬람은 평화의 종교이지만 일부 무식한 광신자들이 테러를 저지를 뿐이다”는 주장에 고개를 끄덕이며 수긍한다. 물론 우리 주변의 무슬림들과 실제로 사귀어 보면 부드럽고 친절한 사람들도 많다. 그러나 우리가 어떤 종교를 이해하려고 할 때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의 행동을 보고 판단하는 것은 잘못이다. 그 종교의 경전과 교리를 보고 판단을 해야 한다. IS의 최고 지도자(Khaliph) 아부바크르 알 바그다디는 무식한 광신자가 아니라 바그다드 이슬람 신학교에서 이슬람을 연구하여 Ph.D 학위를 취득한 학자다. 그 사람보다 이슬람을 더 잘 아는 사람은 지구상에 거의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아랍어가 모국어이기 때문에 이슬람에서 숨기고 있는 자료까지 모두 볼 수 있기 때문이다. IS(이슬람국가)는 이슬람과 관계가 없다는 말은 김치찌개는 김치와 관계가 없다는 말과 같다. 물론 꾸란에도 비무슬림들을 대할 때 인내하라(꾸란10:108-109), 기다리라(6:158), 너그럽고 관대하라(15:85), 논쟁하지 말라(29:46)는 등의 온건한 구절들이 있지만 이는 무함마드가 초기에(주후610~623) 세력이 약할 때